Search

'세종 정신' 해시계 '앙부일구' 미국서 되찾았다 : 문화일반 : 문화 : 뉴스 - 한겨레

cezhentertainment.blogspot.com
국외재단 6월 미 경매서 매입해 국내 환수
18일부터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일반공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지난 6월 미국 경매에서 매입한 해시계 ‘앙부일구’. 조선 4대 임금 세종 치세기의 발명품이지만, 환수된 앙부일구는 18~19세기 제품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지난 6월 미국 경매에서 매입한 해시계 ‘앙부일구’. 조선 4대 임금 세종 치세기의 발명품이지만, 환수된 앙부일구는 18~19세기 제품이다.
환수된 ‘앙부일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 뾰족한 모양으로 해 그림자를 드리우며 시간을 알려주는 영침(影針)과 그 둘레에 시각을 가리키는 시각선이 그려져 있다.
환수된 ‘앙부일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 뾰족한 모양으로 해 그림자를 드리우며 시간을 알려주는 영침(影針)과 그 둘레에 시각을 가리키는 시각선이 그려져 있다.
지금으로부터 500여년전인 1434년 10월 서울 거리에 사상 최초로 공중용 해시계가 등장했다. 종묘 앞과 종로 1가 중학천에 걸친 다리인 혜정교 앞에 각각 설치된 해시계의 이름은 ‘앙부일구’(仰釜日晷). 당시 재위 16년째를 맞고있던 조선왕조의 4대 임금 세종(1397~1450)이 과학자 장영실과 이천, 김조 등에 명령해 처음 만든 이 해시계는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모양의 오목한 금속제 구형 그릇 안쪽에 뾰족한 시침 막대를 놓고 여기에 비치는 햇살의 방향에 따라 그림자가 지게 해 시간의 흐름을 알려주는 기발한 얼개의 발명품이었다. 영침 둘레에는 하루의 시각선이 표시됐다. 글을 모르는 백성들이 단번에 보고 알게끔 각 시각을 상징하는 쥐와 소, 호랑이, 토끼 등 12지 동물상을 그려 넣었다고 전해진다. 실제로 조선왕조실록> 세종 16년 10월2일조에는 혜정교와 종묘 앞에 설치한 앙부일구로 시간을 잰 뒤 보고한 내용이 전한다. “신(神)의 몸을 그렸으니 어리석은 백성을 위한 것이요, 각(刻)과 분(分)이 빛나니 해에 비쳐 밝은 것이요, 길 옆에 설치한 것은 보는 사람이 모이기 때문이다”라고 기록해 백성을 위한 애민의 마음으로 십이지상이 그려진 공중 해시계를 설치했음을 알 수 있다. 세종 대의 발명품인 앙부일구는 그뒤 조선시대 말까지 공중용 시계는 물론 도자기나 목제 등의 휴대시계 등 여러 모양과 크기로 만들어져 세상에 널리 퍼지게 된다. 1446년 창제한 한글과 더불어 세종대왕의 애민사상이 구현된 중요 발명품으로 꼽히는‘앙부일구’(仰釜日晷)의 완형품이 최근 미국에서 발견돼 고국으로 되돌아왔다.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최응천)은 지난 6월 미국 경매에서 매입한 18~19세기 제작품 ‘앙부일구’를 17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에 공개한다. 재단 쪽 조사팀은 지난 1월 이 유물이 현지 경매에 출품된다는 정보를 입수한 뒤 유물에 대한 조사와 국내 소장 유물들과의 과학적 비교분석 등을 진행했다. 경매는 원래 지난 3월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확산사태로 수차례 취소되고 연기되는 곡절을 겪었다. 결국 6월 경매에서 낙찰 받아 입수한 뒤, 포장하고 반입 절차를 거쳐 지난 8월 국내로 들여왔다고 한다.
<국조역상고> 권1에 기록된 앙부일구의 북극고도 관련 기록(붉은 선으로 친 부분). ‘숙종 39년인 1713년 청 사신 하국주가 한양 종로에서 북극고도를 측정해 37도 39분 15초의 값을 얻었다’는 내용으로 이 측정값을 명문에 표기한 앙부일구 환수품의 제작시기가 1713년 이후임을 입증하는 근거가 된다.
국조역상고> 권1에 기록된 앙부일구의 북극고도 관련 기록(붉은 선으로 친 부분). ‘숙종 39년인 1713년 청 사신 하국주가 한양 종로에서 북극고도를 측정해 37도 39분 15초의 값을 얻었다’는 내용으로 이 측정값을 명문에 표기한 앙부일구 환수품의 제작시기가 1713년 이후임을 입증하는 근거가 된다.
‘앙부일구’는 직역하면‘하늘을 우러러 보는 가마솥 모양에 비치는 해 그림자’란 뜻이다. 조선시대 과학 기술 수준과 백성을 위한 정책을 보여주는 대표 유물이다. 환수된 앙부일구는 지름 24.1㎝, 높이 11.7㎝, 약 4.5㎏의 동합금 유물로 몸체에 숙종 39년인 1713년 설정한 한양의 위도인‘북극고 37도 39분 15초(北極高三十七度三十九分一十五秒)’란 명문이 새겨져 18세기부터 19세기 초 사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솥뚜껑을 뒤엎은 전형적인 앙부일구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숙련된 장인의 솜씨로 구형용기에 시각선과 계절선, 24절기의 명칭을 은입사 기법으로 새겨넣었고, 받침 다리엔 화려한 구름과 용 문양까지 장식해 빼어난 조형성까지 지닌 최상급의 앙부일구 명품으로 평가된다. 박물관 쪽은 “환수된 앙부일구는 서울의 위도에서 정확한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 특징”이라며 “고국의 하늘 아래로 돌아와 정확한 시간을 가리킬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환수의 의미가 더욱 뜻깊다”고 밝혔다. 현재 앙부일구는 동합금 금속제와 대리석, 도자기 재질 등 재료별로 나뉘어 여러 크기의 유물들이 전한다. 이들 가운데 앙부일구를 대표하는 동합금 제품은 이번 환수품 외에 모두 7점이 전한다. 보물 2점을 포함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3점을 비롯해, 고려대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성신여대박물관에서 각각 1점씩을 소장중이다. 덕수궁 석조전과 창덕궁 대조전·주합루, 창경궁 풍기대·옛 장서각 터 앞에는 앙부일구를 설치했던 대도 남아있다. 돌아온 앙부일구는 앞으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관리하면서 자격루, 혼천의 등의 다른 과학 문화재들과 함께 연구·전시 등에 활용하게 된다. 문화재청은 18일부터 다음달 20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과학문화실에서 환수한 앙부일구를 공개할 예정이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도판 및 사진 국외소재문화재재단

Let's block ads! (Why?)




November 17, 2020 at 07:01AM
https://ift.tt/3lD5zTv

'세종 정신' 해시계 '앙부일구' 미국서 되찾았다 : 문화일반 : 문화 : 뉴스 - 한겨레

https://ift.tt/2XUmXd9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세종 정신' 해시계 '앙부일구' 미국서 되찾았다 : 문화일반 : 문화 : 뉴스 - 한겨레"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